중앙은행
중앙은행먼저 살펴보자. 현대의 화폐는 국가의 신용으로 발행된다고 하는데, 그게 무슨의미일까?
우선 RP(Repurchase Agreements)라는 개념이 있는데 단순화하자면, 채권을 담보로하는 담보대출이랑 크게 다를게 없다. 그래서 현대의 화폐는 대체로 시중은행이 국채를 담보로 맡기면, 중앙은행이 화폐를 발행하고 초단기 대출을 해주는 구조이다. 이때, 시중은행은 중앙은행에 이자를 내야 한다.
요컨데, RP와 채권담보대출과의 중요한 차이는 채권이자를 누가 수령하냐는 것이다. RP는 대여자가 수령하며, 채권담보대출은 대출자가 수령한다.
추가적으로 공개시장조작을 통해 화폐를 발행하고, 채권을 직접 매입하기도 한다. 정말 가끔은 주식까지도 매입을 하기도 한다. (질적완화) 뭐가 되었든 모두 자산이 중앙은행으로 들어가면서, 화폐는 시장으로 나오게 된다.
이후 시중은행에서도 발행이 이어진다. 중앙은행에서 빌린돈으로 시중은행은 시장 참여자(ex 기업)에게 대출을 하게 된다. 그러나 기업은 이 돈을 현물 화폐로 인출하지 않는다. 즉, 어찌보면 대출과 동시에 예치를 하는 것이다. 그래서 시중은행은 1억을 가지고 있어도 10억 이상 빌려줄 수 있다. 다만, 1억을 가지고 100억 1000억을 빌려주는 것은 너무 리스크가 크기 때문에, 지급준비율로 그 정도를 제한하고 있다. (사실 이것은 한국은행권으로 담보되는 국민은행권인 것이다.)
중앙은행에서는 국채를 담보로, 시중은행에서는 중앙은행에서 빌린 화폐와 대출자의 예금을 담보로 화폐가 발행된다고 볼 수 있다. 이런 화폐가 유통되는 모든 과정에서 (자국화폐 표시의)이자와 예대마진이 존재하게 된다. 따라서 시장은 시중은행에게, 시중은행은 중앙은행에게 평생 갚을 수 없는 빚을 지게 된다.
루나와 비교
루나는 현대 화폐의 발행, 유통과정에 비하면 정말 심플하다. 프로토콜이 루나를 받고 UST를 발행한다. 자세한건 잘 설명한 글이 너무 많으니 생략한다.
그런데, 가만보면 발권 원리에 있어서 루나와 현대 화폐는 크게 다를게 없다. 국가 채권의 기묘한 포지션을 한 번 들여다보자. 국채를 발행하면 정부는 화폐를 획득하고, 이 화폐로 이자를 지급해야 한다. 중앙은행은 국채를 받고 화폐를 발행하고, 국채로부터 이자를 받아야 한다. 그럼 정부가 지급해야 하는 이자는 어디서 오는가? 중앙은행에서 나온다. 그렇다면, 우리 원화는 대한민국의 국채를 담보로 하는데 도대체 대한민국의 국채는 어떤 내재 가치를 가지는가? 대한민국 국채가 원화로 얼마라고 한들 그 원화는 대한민국 국채를 담보로 발행된 원화인데 그것을 원화로 평가하는게 무슨의미가 있는가? 뫼비우스의 띠 같이 계속 서로가 서로를 순환하는데 말이다.
국가의 신용이란, 국채의 이자가 잘 나오고 채권이 부도가 잘 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위에서 말한 것과 연결지어서 생각해보면, 국채의 신용은 그저 이 현상들의 톱니바퀴가 잘 맞물려서 잘 굴러가리라는 믿음일 뿐 인 것이다. 다만 그 믿음은 너무 강해져서 공공연한 사실이 되었을 뿐이다.
루나도 마찬가지라고 본다. 앞으로 루나-테라 구조가 탄탄하게 성장해서, 1UST가 1USD의 가치를 할 것이라는 믿음이 있는 것이다. 혹은 UST를 프로토콜에 반환했을 때, USD에 상응하는 루나를(혹은 비트코인을) 문제없이 반환 받을 수 있으리라는 믿음이 지탱하고 있는 것이다.
이 부분에 있어서, 테라의 화폐가 USD가 아닌, web3 native한 stable coin이라면 좋지 않을까? 라는 생각이 남는다.
마무리
시작할 때, 말했듯이 가치판단은 삼가도록 하겠다. 혹여 잘못된 내용이 있거나, 논의할만한 내용이 있다면 댓글을 통해 함께 이야기 나눠보고 싶다.